한국어에 대하여-1 -정리 중 이 글에서는 현대 한국어의 종결어미가 주는 제약과 그 가능성에 대하여 말하고자 한다. 영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굴절어>( )이다. 영어에서는 서양인이 이해를 먼저 따져 (판단선행적)이고 (대상규정적)이라는 특성이 바로 드러난다. 그래서 주어 다음에 긍부정을 수반하는 동사가 막바로 온다. 한편, 우리말은 우랄알타이어에 속하는 교착어이다. 일반적으로 주어가 문장의 첫머리에 오는 것은 인류언어의 보편적인 특징이니 당연히 먼저 오는 것이고 동사(또는 형용사)가 맨뒤에 온다. 이점은 우리말이 표현중심적이며 환경지향적이라는 것을 나타내준다. 더 정확히 말하면 말을 하는 '나'와 환경이, 말을 듣는 '너'와 환경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고 더불어 존재한다는 느낌을 담고 있다는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