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관련 102

우리말에서 대부분 실종된 'ㅎ'음의 비밀과 한국어의 조어 재구

원래 기원전에 우리말의 조상어에 많이 쓰였던 'ㅎ'음이 기원 전후의 우리말 고대어에서 'ㅎ'음이 '여린 'ㅎ'에서 'ㅇ'음으로 약화되거나 거의 상실되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많다아직도 부리아트어나 몽골어 고대 돌궐어(터키어)에서 빈번하게 쓰이는 'ㅎ'음이 고대 한국어 종결어미에 있는 옛 '허'음에서 일부가 현재의 '하'로 변했거나 대부분이 소멸되었다는 사실은 심층적 연구의 대상이다아직까지도 우리말에 '-허'의 명맥을 잇는 명령형으로 '-해', '-혀' 등이 쓰이는 것은 주목할만하다우리말 동사의 종결어미에 쓰이는 '하(다)'는 '허'음의 거의 유일한 유물적 잔상으로 느껴진다여기에서 '하다'의 '하'는 원래 북방계 부여어의 '허'이며 현대 한국어가 마치 '-다다'어로 생각될 정도로 빈번하게 쓰이는 ..

故 김인호 박사 유고집 ‘제주뿌리학’ 나와

제주인 전통적인 삶 생생히 전달 기사입력 2007-03-15 00:03 |최종수정2007-03-15 00:03 광고 故 김인호 박사 유고집 ‘제주뿌리학’ 나와 故 김인호 박사(1922~1999)는 일제강점기 일본 二松學舍大 국한문과를 졸업하고, 京都大에서 만주, 몽골어학을 전수했다. 이후 조선학회와 일본민족학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