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사투리의 여러 종결어미들 제주 사투리의 여러 종결어미들 *-시녜:일본어의 -스네 *-수꽈?:일본어의-스까 *-했덴마시:일본어의 -데스(네) /함경도 방언의 -했댔시오/경상도: -대이/현대 한국어의 -했답니다 *-핸마씨(씨:shi):일본어의 -마시다/마쓰(?) *-해수께:-했습니다. *-해수꽈?:-했습니까? *-해신게:전라도 사투리의 -했응게 *-해시.. 한국 관련/제주도 사투리 2007.06.02
본 방에 수록된 내용에 대하여 미리 밝힙니다. 본 방에 수록된 한국의 고문자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 카페의 chunbuinnet(천부인net)에서 인용한 것임을 밝힙니다. chunbuinnet의 운영자분께 감사 드립니다. 여기 수록된 내용에 대해 제 의견은 개진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역사적 사실성의 측면에서 흥미와 의의가 있는 부분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 한국 관련/제주도 사투리 2007.05.31
이해인 수녀님의 '말을 위한 기도' 중에서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나 수없이 뿌려놓은 말의 씨들이 어디서 어떻게 열매를 맺었을까 조용히 헤아려 볼 때가 있습니다. 무심코 뿌린 말의 씨라도 그 어디선가 뿌리를 내렸을지 모른다고 생각하면 왠지 두렵습니다. 더러는 허공으로 사라지고 더러는 다른 이의 가슴속에서 좋은 열매를 맺고 또는 언짢.. 구도하는 삶/구도행 2007.05.31
버려야 할 다섯 가지 마음 -수상 스님 버려야할 다섯가지 마음 1. 의심(疑心) 자신이 행하고 있는 일, 자신이 가고 있는 길, 자신이 보고 있는 것, 자신이 듣고 있는 것, 자신의 생각, 자신의 판단력, 자신의 능력. 자신의 귀한 존재를 의심하지 말라. 2. 소심(小心) 마음을 대범하게 쓰는자, 무엇이 두렵겠는가. 큰 사람이 되자, 큰 마음을 갖자... 구도하는 삶/구도행 2007.05.31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과 일반상식 [초심자를 위한 불교예절과 일반상식] ▶ 예절 불교예법을 바르게 익힘으로써 우리 모두 참된 불자로서 어긋남이 없는 몸 가짐과 마음을 갖추어야 하겠다. 사원은 마음의 번뇌를 정화하고 지혜를 닦는 수행장이다. 신성한 성전이며 기도하고 참회하는 신앙의 귀의처이기도 하다. 올바른 예절은 우리.. 구도하는 삶/구도행 2007.05.31
2 저는 듣기에. 어감상 독일어가 멋있구요 ,, 뭐랄까 비장미가 흐른다고 할까요 그다음이 프랑스어 부드럽고 지적인 느낌도 들고 그래도 들어 줄만한 어감의 언어는 일본어 스페인어이고 일본어는 괜찮은데 가끔 경박하게 느껴지고 스페인어도 어느땐 멋있다가 가끔 어지럽고요 싫어하는 어감은 이란.. 한일관계/외국인의한국평 2007.05.29
1 듣기 좋을 수 있는 말이 한국말입니다. 그런데 현실은 평소에 말을 할때 너무 따 짜 까 빠 뜨 씨 등등의 발음이 많이 들어가서 많은 미국인들한테는 중국말과 구분이 안됩니다. 중국말과 발음은 거의 같은데 억양 때문에 차이를 조금 느낄 정도 이겠지요. 사적인 자리에서 말을 순하게 하면 괜히 자기.. 한일관계/외국인의한국평 2007.05.29
수필집 -자아를 찾아서(Self-Finding Journey) 자아를 찾아서(Self-Finding Journey) 번잡한 현대인의 일상 속에 자아의 절해고도를 찾아 떠나는 이상하고 은밀한 여행이 오랜 망설임 끝에 이 순간에 드디어 시작되었다. 그 여정은 미지의 세계를 향한 최초의 여정으로 결국은 어디엔가 솟아 있을 천연의 *홀승골에 마음의 성(城)을 비롯이 올리려는 시도에서 시작된다. -1- 문득 한 밤중에 소스라치듯 잠에서 깨어났다. 모든 빛의 부재, 어둠 안에 둥지에 깃든 새처럼 보이지 않는 시선을 열고 가만이 앉아 있다. 내가 대면하거나 느끼는 것은 지금 아무것도 없다. 사위는 고요하고 뭇 생명은 어둠의 베일 속에 가리워져 혼곤히 잠들어 있다. 마치 내가 먹이를 찾지 못한 눈불을 켠 한 마리 야생동물이 된 듯한 느낌이 속 깊이에서 솟아난다. 뭔가를 짚으려는 .. 엘리엇 킴 작품방/수필집(미셀러니) 2007.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