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전에 “돈 없으면 건달, 돈 있으면 한량”이라는 속담이 나온다. 이로 보면, ‘건달’은 쓸 돈이 없어 처량한 신세의 사람, ‘한량’은 흥청망청 쓸 돈은 있어 스스로는 신나는 사람이다. 그러나 ‘건달’이건 ‘한량’이건 아무 하는 일 없이 세월만 보내는 한심한 사람들임에는 틀림이 없다. 건달’이라는 단어는 16세기의 “순천김씨언간”에 처음 보인다. 그런데 이 단어는 본래 불교 용어 ‘건달바’에서 출발하여 그 어형과 의미가 변한 것이다. 이 ‘건달바’는 향내만 맡으면서 허공을 날아다니며 노래와 연주를 하고 산다. ‘건달바’가 노래와 연주를 전문으로 하는 신이라는 사실에서, 인도에서는 악사(樂士)나 배우까지 ‘건달바’라고 불렀다. 아마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의미를 그대로 받아들여 한동안 ‘건달바’를 ‘광대’와 같은 뜻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는 일 없이 놀거나 게으름을 피우는 사람’ 또는 ‘난봉이나 부리고 다니는 불량한 사람’이라는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 것이다. 전자의 의미는 ‘건달바’가 노래나 하며 한가롭게 지내는 신이라는 점이 비유적으로 발전하여 파생된 의미라면, 후자의 의미는 ‘아무 실속도 없는 사람’이라는 의미에서 확대된 의미이다. “양씨 한량 권심의 안해니 영평 사 이라”(양씨는 한량 권심의 아내니 영평 사람이다), “김조이는 문홰현 사 이니 할냥 안복의 쳬라”(김조이는 문화현 사람이니 한량 안복의 처다)의 ‘한량’과 ‘할냥’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한량’ 및 ‘할냥’은 그러한 의미가 아니라 ‘일정한 직사(職事) 없이 놀고 먹는 양반 계층’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언제인지는 몰라도 의미 변화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돈푼깨나 있는 양반들이 거들먹거리며 노는 사실에 초점이 맞추어져 또 한 차례의 의미 확대를 경험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 변화가 언제 일어났는지는 알 수 없다. 물론, 최근에 나온 사전에서는 그 본래의 의미를 포함하여 여기서 파생되어 나온 두 가지 의미까지 잘 정리하고 있다. ‘한량’이 동화 작용에 의해 ‘할량’으로 발음되자 다시 ‘활[矢]’과의 연상 작용으로 ‘활량’이 된 것이다. ‘할’을 통해 ‘활’을 연상한 것은, ‘할량’이 ‘무인(武人)’이고 이들이 ‘활’을 사용한다는 점 때문이었을 것이다. 할 일 많은 이 세상에 게으르고 무능한 ‘건달’, 그리고 돈 귀한 줄 모르고 흥청대는 ‘한량’은 모두 경계해야 할 인물이다.
출처 : 조항범(趙恒範) / 충북대학교 |
'한국 관련 > 최상의 문자-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말 어원] 강추위, 무더위 (0) | 2007.11.10 |
---|---|
[스크랩] [우리말 어원] 개나리, 진달래 (0) | 2007.11.10 |
[스크랩] [우리말 어원] 결혼하다, 혼인하다 (0) | 2007.11.10 |
[스크랩] [우리말 어원] 경을 치다 (0) | 2007.11.09 |
[스크랩] [우리말 어원] 고구마, 고독, 고리짝 (0) | 2007.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