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관련/최상의 문자-한글

[스크랩] -펀-한글은 가장 많은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다.

imaginerNZ 2007. 10. 29. 03:34

 

 

[펌]


한글은 현존하는 문자중에서 가장 많은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다.


소리의 표현을 한글은 11,000 (일만 천)개 이상을 낼 수 있다.

일본어는 약 300개

중국어(한자)는 400 여개

또한 한국이 문맹률이 가장 낮은 점.(한글의 편리함.)

몇년전 세계언어학회에서 마침 한국대표는 참석하지 않았지만

세계의 언어학자들이 한글을 세계 공영어로 쓰자고 말한 적도 있다고 한다.

현재의 한글은 인간이 낼 수 있는 모든 발음을 표기할 수는 없다.

하지만 현존하는 문자중에서 가장 많은 발음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다.

한글의 원리는 인간이 언어를 조합하고 말하는 것에 가장 가깝다.

한글은 상당히 유동적이고 융통성이 있는 문자이다.


한글로 일본어를 표기하는것은 크게 무리가 없지만,

일본의 "가나"로 한국어를 표기하는것은 아예 불가능하다.

"가나"를 한국어에 맞게 고치는것도 불가능하다.

가나의 원리부터 뜯어고쳐야 한국어를 제대로 표기할 수 있다.

 

반면,한글로 일본어를 완전히 표기하려면 조금만 수정해주면 된다.

펜티엄 4로 윈도우2000 을 구동시킬 수 있지만

286으로 윈도우2000 을 구동시키지 못하는것과 같은 이치다.


- 글자 문제로 인한 중국과 일본의 고민


우리는 쉽게 쓰는 한글 때문에 우리 옆에 있는 중국과 일본의 고통을 알지 못하고 있다.

잠시 그들 나라를 살펴보면 그들이 글자문제로 얼마나 고민에 쌓여 있는지 알 수 있고

우리의 한글에 대한 고마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그들의 역사를 먼저 돌아보면,

구한말인 1882년 조선에 임오군란이 발생하자 청나라의 원세개가 조선에 파견되어

1894년 청일 전쟁이 끝날 때까지 여러 차례 조선에 파견되어 머물렀는데,

조선에서 생활하던 중 한글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던 모양이다.

그리하여 원세개가 중화민국 초대 대통령이 되었을 때, 한 관리로부터

중국 사람들이 한자의 어려움 때문에 글자를 깨우치지 못하여 문맹률이 매우 높다는 보고를 받자,

조선의 한글을 중국인에게 가르쳐서 글자를 깨우치게 하자고 제안했으나,

원세개의 생각은 실현되지 못했다.

한자는 말소리를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배우기 어렵기 때문에

한자 대신에 표음문자를 쓰려는 움직임은 오늘날까지도 계승되고 있으며...

 

그리고 현재 대만에서는 한자의 발음 기호로 부호를 만들어 쓰고,

중국에서는 로마자로 된 부호를 만들어 쓰고 있다.

대만의 50개 부호는 일본 가나와 같은 원리로 만들었으므로

자음 모음이 잘 구별되지 않는다. 역시 원시적인 발음 기호에 지나지 않는다.

 

중국의 부호는 이렇게 로마자를 빌려다가 현대 중국어의 발음 기호로 쓰면서,

초등학교에서는 한자보다도 먼저 로마자로 된 부호부터 가르치고 있다.

우리는 한글만 읽을 수 있으면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으나,

중국은 그 발음이 각 지방마다 다 달라 그 발음기호를 로마자를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그 중국의 옛말을 어떻게 발음을 했는가를 알아보려고 훈민정음을 공부하기도 한다.

어쨌든 중국정부는 20세기 초 90%가 넘는 문맹률을 최근에 가까스로 50%까지 줄여왔는데도

문맹률은 아프리카와 비슷하다. 아직도 세계최고 수준의 문맹률이다.

 

현재의 중국은 컴퓨터의 보급과 정보화라는 새로운 문명 앞에서

한자사용과 소리글자 사용이라는 두 상황 앞에서 고민하고 있다.

아시다시피 글씨를 쓸 때는 획수가 많아 획을 간소화 한 간체자로 극복을 하고

글자수를 줄여 배우고 사용하기를 쉽게 했다 해도,

자판을 이용한 컴퓨터에 입력은 정말 번거롭고

통신상 오류가 날 확률이 높아 정보화 사회구축에 애로가 많다.

 

로마자를 부호로 사용한 것과는 달리, 한자를 없애고 소리글자를 채용해야한다는 이 상황은

중국이 당면한 가장 큰 문제로

“중화”라는 그들의 자존심이 결정을 늦추게 하고 있을 뿐이다.

이제 그들의 결정이 늦어질수록 미래의 정보화와 과학화는 늦어질 것이고,

갈수록 그들의 번거로움은 커져만 갈 것이다.

그때 원세개가 생각했듯이 한자를 없애고 한글을 선택하느냐, 아니면 로마자를 선택을 하느냐하는 결정사항만 남았을 뿐이다.

 

일본 또한 마찬 가지다. 아니 일본은 더 심각하다.

중국은 영어의 발음을 전부 표시할 수가 없어 아예 새로운 단어로 바꿔서 한자로만 받아들이지만,

일본은 가나, 한자, 로마자 등이 섞여서 쓰인다.

그래서 현재 세계에서 가장 복잡한 문자 체계를 갖고 있어 그 글을 배우는 데 보통 문제가 아니다.

우리의 어린이들은 초등학교 1,2학년만 되어도 어휘를 몰라서 어려운 책을 못 읽을 뿐이지,

만화책 같은 쉬운 책들은 쉽게 읽는다.

그러나 일본과 중국은 초등학교 5~6학년 정도는 되어야 우리나라 어린이 정도의 책 읽는 수준이 된다.

그만큼 가나와 한자를 깨우치고 학문을 배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

20세기에서 엄청난 발전을 이룩해 미국을 두려워 떨게 한 일본은 이제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화산업에서 갈수록 뒤처지고 있다.

가장 중요한 원인이 바로 그들의 복잡한 글자생활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정보화산업의 발전은 정부의 투자도 큰 역할을 했지만

만일 일본과 같은 글자생활을 하고 있었다면 상당히 늦춰졌을 것이다.

아시다시피 컴퓨터에 글을 입력한다면 우리는 자판만 두드리면서 별 생각 없이 입력하지만,

그들은 입력한 것을 한자로 변형하는 등의 복잡한 작업을 꼭 해야만 한다.

별다른 힘도 들이지 않고 한글을 입력하여온 우리에게는

그들의 생활이 별로 실감이 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일본은 정보화를 추진할 돈도 있고, 꼭 그래야만 하는 상황도 되었지만

그들의 정보화는 갈수록 우리나라보다 뒤처지고 있는 현실이 이를 입증하고 있다.

이제 중국과 일본은 중요한 선택이 남아있다.

21세기에 그들이 계속 경제와 과학을 발전시키고 정보화 사회를 이룩하려면

한자와 가나같은 문자체계를 우리의 한글이나 로마자 둘 중에서 선택을 해야 한다.

과학과 정보화의 발전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속도를 받고 있고,

그들의 불편과 문자사용의 어려움은 계속될 것이기 때문이다. 

 

 

 

 

출처 : 한국고대사
글쓴이 : 한국의 부활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