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궐-1
高句麗와 터키
|
이런 내용은 ‘수서(隋書)’ 양제 본기(本紀) 대업(大業) 3년(607) 조에도 실려 있는 사실이다. 이때 양제는 고구려 사신에게 “돌아가 네 왕에게 마땅히 빨리 와서 조현(朝見)하도록 하라”며, 그러지 않으면 계민과 함께 공격하겠다고 협박한다. 양제는 고구려와 투르크의 통교(通交)에 큰 충격을 받았던 것이다. 고구려와 투르크는 한때 거란과 말갈 등의 지배권을 두고 갈등을 겪기도 했지만 수나라가 중원을 통일하자 동맹 관계를 맺어 공동 대응했던 것이다. 영양왕은 재위 9년(598) 말갈(靺鞨)군사 1만여 명을 거느리고 요서(遼西)를 선제공격하고, 양제의 부친 문제(文帝)의 30만 대군을 전멸시킨 장본인이므로 양제의 입조(入朝) 요구는 허세였다. 양제는 몇 년 후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되레 왕조가 망하고 말았다.
‘주서(周書)’ 이역(異域) 돌궐(突厥) 열전은 “투르크는 대개 흉노의 별종이다”라면서 흥미로운 시조 전설을 전한다. 전쟁에서 패해 한 아이만 살았는데 이리가 먹여 살렸다. 이를 안 이웃 국왕이 아이를 죽이고 이리도 죽이려 했으나 이리는 북쪽 산으로 달아나 소년의 핏줄인 열 명의 아들을 낳았다. 이들은 금산(金山·알타이 산) 남쪽에 살면서 철공(鐵工)이 된다. 금산이 두무(兜?·투구) 모양이고, 속어에 두무가 투르크(突厥)이기 때문에 투르크라고 불렸다. 이는 늑대의 젖을 먹고 자랐다는 로마 시조 로물루스와 유사하다.
투르크는 13세기에는 오스만 투르크 제국을 건설하는데, 현재 터키의 국사 교과서는 고구려를 투르크의 형제국이라고 설명한다고 한다. 내년 3월이 한국과 터키 수교 50주년이라는데, 영양왕 18년을 기점으로 삼을 경우 내년은 수교 1400년이 된다.
'한일관계 > 동북아민족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궐의 복속 (0) | 2007.12.16 |
---|---|
터키는 고구려 때부터 동맹관계 (0) | 2007.12.16 |
[스크랩] 가야 환두대도 (0) | 2007.12.12 |
[스크랩] `일본`이란 이름도 한국에서 배워감 (0) | 2007.12.12 |
[스크랩] 부여의 귀걸이 (0) | 2007.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