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동명성왕, 벤처와 M&A의 승리! 동명성왕, 벤처와 M&A의 승리! 기존 시스템에 대한 거부와 새로운 벤처창업을 상징하는 주몽의 고구려 건국설화 오귀환/<한겨레21> 전편집장 △ '길 떠나는 주몽'과 '말 달리는 주몽'. 평양시 동명왕릉 옆 전각의 내부 그림들이다.(<역사스페셜4>,효형출판)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는 압록.. 한일관계/동북아민족사 2007.09.29
[스크랩] 인도 문양 이미지-관광 여행 - 인도의 문양 (무늬)은 우리나라 민화의 문양 (무늬)과 비슷합니다. 그 옛날 가야국의 시조 김수로왕(김해김씨의 시조)의 왕비(김해 허씨의 시조)가 인도에서 건너왔다고 하더니만 그때 들여온 인도의 문양이 우리나라에도 계속해서 그대로 전수되고 잇는거 같습니다. 좌우간 우리에게 굉장한 친근감이.. 한일관계/동북아민족사 2007.09.29
[스크랩] 우리 역사 바로알기 - 수밀이와 슈메르 우리역사 바로알기 - 수밀이와 슈메르. 인류 학계 및 세계의 사학계가 주목하는 슈메르 문화의 뿌리에 해당하는 나라가 바로 수밀이국이다. 슈메르 민족이란 엄밀히 말하면 오늘날 슈메르어라고 불리우는 언어를 사용한 민족으로 세계최고의 도시문명을 메소포타미아에서 꽃피운 민족이다. 여기 세.. 한일관계/동북아민족사 2007.09.29
[스크랩] 우리역사 바로알기 (14) 치우천왕과 청구국. 우리역사 바로알기..치우천왕과 청구국 치우천왕이 중원을 개척하여 넓힌뒤에 그 땅을 청구국이라 이름하였는데, 그 중심은 지금의 산동 지역이었다. 서량지 교수도 [중국사전사화]에서 동이족의 중심지가 산동성이라 하였다. 이와 같이 동이족은 산동성을 중심으로 하여 요녕성. 하북성. 산서성. 섬.. 한일관계/동북아민족사 2007.09.29
[스크랩] *중국의 시조는 동이족이다.(1) 중국의 시조는 동이족이다.(1) . 환웅이 신시에 도읍하고 배달국을 세울 무렵 중국의 시조라 일컫는 삼황오제 의 역사도 시작되었다. 삼황이란 처음 중원의 일부를 차지하고 나라를 세운 세 명의 제왕을 말하며., 오제란 그 뒤에 일어난 다섯명의 제왕을 가리킨다. 그런데 뒤에 일어난 오제는 삼황에 뿌.. 한일관계/동북아민족사 2007.09.29
[스크랩] 중국의 시조는 동이족이다 (2) 중국의 시조는 동이족이다 (2) 5대 한웅과 태호복희 앞에서 본것처럼 중국의 학자들조차 자신들의 시조가 동이족임을 고백하고 있는데, 이제 이러한 사실을 우리의 역사와 문헌을 통해 좀더 구체적으로 확인해 보기로하자. 태호복희는 삼황오제 중에서 첫 번째로 등장하는 제왕으로, 그가 동이족이었.. 한일관계/동북아민족사 2007.09.29
[스크랩] 중국의 시조는 동이족이다.(3) 중국의 시조는 동이족이다 (3) 고시씨와 염제신농 태호복희에 이어 등장한 염제신농 역시 그 뿌리를 배달국에 두고 있는데, 이러한 사실을 [태백일사]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웅씨에서 갈라져 나간 사람중에 소전 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안부련] 한웅 말기에 소전은 명을 받들어 강수에서 병.. 한일관계/동북아민족사 2007.09.29
[스크랩] 치우천왕 과 황제훤원.1 중국의 시조는 동이족이다--치우천왕과 황제훤원 (1) 치우천왕은 배달국의 14대 자오지 한웅을 일컫는 말이며, 황제훤원(BC 2692~2592년경)은 삼황오제 중 한사람이다. 특히 중국에서는 자신들의 뿌리와 관련하여 삼황중에서도 황제 훤원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어서 중국정사의 첫 번째 책인 사기 에서.. 한일관계/동북아민족사 2007.09.29
[스크랩] 한민족 뿌리역사 환단고기 [ 桓檀古記 ] 한민족 뿌리역사 환단고기(桓檀古記) 환단고기(桓檀古記)는 네 권의 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환인(桓仁)과 환웅(桓雄)의 역사를 기록한 삼성기. 단군조선(檀君朝鮮)의 역사가 담겨 있는 단군세기. 고구려의 전신인 북부여의 역사를 기록한 북부여기. 마지막으로 태백일사에는 상고시대부터 고려까지의 .. 한일관계/동북아민족사 2007.09.29
[스크랩] 國有玄妙之道 한민족 정신세계의 원형은? 영상은 8분...꼭 한번 보세요. 우리민족의 정신세계 알아 둬야지요. 신교는 7500년동안 우리민족의 국교였고 지금까지도 면면히 흘러 내려오고 있는데, 그 맥을 얘기해 보겠습니다. 유 불 선의 모체가 된다는 사실이 최치원(崔致遠) 선생이 쓴 난랑비서문(鸞郞碑序文)에 있습.. 한일관계/동북아민족사 2007.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