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관련/최상의 문자-한글

[스크랩] 최초로 문자를 만든 것은 동이족

imaginerNZ 2007. 10. 29. 03:21


(퍼온글)


최초로 문자를 만든 것은 동이족


▶ 한자의 원조인 갑골문은 중국이 아닌 동이족의 문자이다

 

일반적으로 한문은 중국인이 만든 중국의 문자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한자의 원조는 은나라의 갑골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중국의 역사서들은 사마천의 <사기(史記)>를 비롯하여

주나라 때부터야 비로소 중국 고대사의 확실한 연대를 기록하기 시작합니다.

즉 주나라 이전시대는 자기네 나라 역사가 아니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갑골문자의 발굴로 중원 땅에 실존했던 국가였음이 뒤늦게 밝혀지게 될 때까지,

주왕조 이전의 나라인 은나라는 기록과 물증이 없어 전설 속의 왕조로 알려져 왔었습니다.

저 유명한 사마천도 <사기(史記)>에서 은나라는 동이족의 국가이고 주나라는 한족(漢族) 국가라고,

은나라의 건국시조 설은 동이족이라고 분명히 기록했습니다.

은왕조는 동이족이 통치하였던 국가였으며 단군조선의 제후국이었던 것입니다.

은나라의 건국시조도, 나라 자체도 동이족의 국가인데

거기서 나온 문자만 동이족이 아닌 한족(漢族)의 문자라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 것이 아닐까요?


▶ 한문과 한글은 우리 민족의 완벽한 문자 시스템

 

한문의 근원인 녹도문 또는 갑골문자도 우리조상이 만들었고

거기서 나온 한문 또한 동이족의 문자였습니다.

 

만물을 형상화한 한문은 신시배달시대의 녹도문자가 뿌리가 되어 탄생한 음(陰)의 문자이며 뜻글자이고,

후대인 단군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가림토문자에서 만들어진 한글은 양(陽)의 문자이며 소리글자입니다.

즉, 뜻글자이자 음(陰)문자인 한문과 소리글자이면서 양(陽)문자인 한글을 함께 써야 완벽한 문자체계가 이루어집니다.

이 두 문자를 함께 써야만 모든 소리를 완벽하게 말할 수 있고, 그 뜻을 확실히 알 수 있는 것입니다.

그 시대의 많은 사람들과 미래의 후손들을 위해 문자를 최초로 발명한 우리의 선조들은 그렇게 완벽한 문자를 만드셨습니다.

다시 말해 한자는 과거 없었던 글자를 중국사람들이 만든 것이 아니라,

배달국시대의 녹도문 이래 동이족들이 세운 은나라에서 쓰던 글자들이 계속 발전해 온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역사에는 한문을 언제 수입했다는 기록이 없습니다.

단군시대 이후 동이족이 힘이 없어지고, 진나라, 한나라 등 한 족의 세력이 커지면서

한문(桓文)은 한문(漢文)으로 바뀌어졌으며,

단군조선의 제후국이며 동이족이 세운 은나라와 그 문자인 갑골문도 중국의 나라와 문자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그후 한문은 중국의 고리타분한 글자요 한자를 쓰는 것은 사대주의라는 비판 속에서,

진짜 기원도 모르면서 그래도 무의식적으로 한글과 한자를 병용해온 것은

두 가지 문자의 발명국 후손으로써 당연한 귀결이었던 것입니다.

 

<참고자료>

 

'한자는 우리 글이다'[2001년 7월 2일자 경향신문 기사]


음성언어로서 한국어와 중국어, 문자언어로서 한자와 우리 글의 상관관계를 탐구한 연구서 2권이 출간되었다.

한국어와 중국어가 서로 다른 어족에 속한다거나 한자는 중국에서 한국으로 전래되었다는 기존 학계의 정설을 뒤집는 내용이다.

경희대 강사인 김지형 박사(국문학)는 '한자 전래 이전 시기의 한국어와 중국어와의 비교'(박이정)란 책에서

서로 다른 어족에 속했다고 알려진 한국어와 중국어 사시에 상당한 공통점이 발견되는 점으로 미뤄볼 때

두 말이 한 뿌리로부터 출발했다고 주장했다.

지금까지 한국어는 몽골, 만주 터키와 같은 알타이어족, 중국은 한장(漢藏)어족에 속한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그러나 김박사는 "상고시대 이전에 6개의 언어 집단이 한국어를 형성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 중 일부가 중국으로 들어갔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같은 주장의 근거로 한자어 213자의 상고시대 발음을 재구(이론을 바탕으로 추정하는 것)해

한국어 300여 개 단어와 비교했다.

예를 들어 '人(인)'자의 중국 상고시대 발음은 '니인'(njin)으로 우리말 '놈''님''남'과 같은 어두자음인 'n' 음가를 갖는다.

또 '河'(하)의 상고시대 재구형 '가르'(gar)도 '강'(江)의 옛말인 '가람'과 비슷하다.

김박사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족을 가르는 차이는 어순과 성조(높낮이)인데

이는 한자가 전래된 상고시대(BC 1세기) 이후의 일이여

음성언어 단계에서는 같은 말로 볼 만한 발음상의 공통점이 발견된다"고 말했다.

한편 재야 사학자 박문기씨는 음성학정, 문화학적 근거를 들어

한자가 중국 글이 아니라 우리 글이라고 주장한 '한자는 우리 글이다' (양문)를 펴냈다.

학계에서도 유창균 계명대 석좌교수(국문학)가

1999년 '문자에 숨겨진 민족의 연원'이란 저서에서 비슷한 주장을 한 적이 있다.

박씨는 한자가 우리 글이란 근거로 한자에 깃든 문화와 관습이 중국보다 우리와 가깝다는 점을 든다.

예컨대 '家'(가)는 집을 뜻하는 면(갓머리)자와 돼지 시(豕)자가 합쳐져 '집안에 돼지가 있다'는 뜻인데

중국에서는 돼지를 집안에서 키우는 풍습이 전혀 없다.

반면 우리는 전라도, 제주도에 이 풍습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또 글자의 소리를 보더라도 한자가 우리말에 가깝다는 게 박씨의 주장이다.

날숨과 들숨을 뜻하는 호흡(呼吸)의 경우 우리말로는 소리가 분명히 나가고 들어가지만

중국발음 '후시'는 모두 새는 소리가 되고 만다.

출입(出入)도 중국 발음은 '츄루'로 본뜻과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김지형, 박문기씨의 주장은 지금까지 중국문자인 한자를 우리가 빌려 썼다는 일방적인 차용의 관점을 탈피해

두 문화 사이의 영향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학계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기까지는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윤정기자 yihan@kyunghyang.com

 

 

 

 

출처 : 한국고대사
글쓴이 : 동해13 원글보기
메모 :